300x250 전체 글875 [Node.js] 웹 서버 만들기 웹 서버 만드는 코드 입니다. 같은 폴더에 index.html 파일을 넣어주고 app.js 라는 파일을 생성 후 아래의 코드를 작성합니다. var http = require('http'); var fs = require('fs'); var app = http.createServer(function(request,response){ var url = request.url; if(request.url == '/'){ url = '/index.html'; } if(request.url == '/favicon.ico'){ return response.writeHead(404); } response.writeHead(200); response.end(fs.readFileSync(__dirname + url)); .. 2021. 1. 31. [Node.js] 파일 쓰기 비동기식으로 파일 쓰기 방법 입니다. var file = require('fs'); file.writeFile('./output.txt', 'TEST', function(err){ if(err){ console.log("Error: " + err); } console.log("파일 쓰기 완료"); }); 2021. 1. 31. [Node.js] 파일 읽기 동기식 파일 IO는 파일 작업이 끝날 때까지 대기합니다. var file = require('fs'); var data = file.readFileSync('./package-lock.json', 'utf-8'); console.log(data); 비동기식 파일 IO는 파일 작업을 요청만 하고 바로 그 다음 작업을 수행합니다. 비동기식으로 파일을 읽는 것이 더 자주 사용되는 패턴 입니다. 비동기식으로 실행할 경우 파일을 읽은 것보다 console.log('package.json 파일을 읽도록 요청했습니다.'); 이 콘솔이 더 먼저 출력됩니다. var file = require('fs'); file.readFile('./package-lock.json', 'utf8', function(err, data){.. 2021. 1. 31. [Node.js] 파일 경로 가져오기. path 모듈의 메소드 이용해서 파일 이름, 폴더 이름, 확장자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var path = require('path'); var fileName = "C:\\Users\\suris\\Downloads\\이슈사항.pptx"; var dirName = path.dirname(fileName); var baseName = path.basename(fileName); var extName = path.extname(fileName); console.log("디렉토리: %s, 파일이름: %s, 확장자: %s", dirName, baseName, extName); // 결과값 디렉토리: C:\Users\suris\Downloads, 파일이름: 이슈사항.pptx, 확장자: .pptx 2021. 1. 30. DataTable 에서 SELECT 라벨 제거 SELECT 라벨 제거하려면 $(document).ready(function() { var table = $('#example').DataTable( { language: { search: ' ', } }); 와 같이 작성합니다. 2020. 12. 2. Table '.\mysql\proc' is marked as crashed and last (automatic?) repair failed 테이블이 깨졌을 때 발생하는 에러 입니다. 처음 보는 에러라서 당황했지만 해결 했습니다. 해결 방안으로는 SQL 서비스를 중지 추 myisamchk 작업을 진행하면 됩니다. myisamchk -ev 테이블명.MYI: 테이블 파일 상태 점검 myisamchk -r 테이블명.MYI: 테이블 파일 복구 위와 같이 작업하니 테이블 정상 동작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2020. 11. 17. MYSQL many connection error로 인해 DB 접속 안될 경우 위와 같은 메시지와 함께 DB에 접근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ROOT 권한으로 SQL에 접근한 다음에 flush hosts; 를 입력하면 해결 됩니다. 2020. 11. 17. Tomcat 에러 Could not delete ... May be locked by another process 발생 이유 - 빌드를 하고 난 다음 한개의 패키지명을 변경 하고 나서 다시 빌드를 하니 "Could not delete ... May be locked by another process" 와 같은 메시지가 출력되었음. 해결방안 - 서버탭에 있는 톰캣 서버에서 우클릭 --> Clean 클릭 - 서버탭에 있는 톰캣 서버에서 우클릭 --> Clean Tomcat Work Directory를 클릭 - 위 방법대로 안될 경우 C:\ --> 사용자 --> 내 아이디 폴더 --> eclipse-workspace --> .metadata --> .plugins --> org.eclipse.wst.server.core 폴더로 이동하여 tmp0 폴더를 삭제 한 후 위의 방법부터 다시 시작. 그리고 다시 실행하면 정상 동작 2020. 11. 9. 이전 1 ··· 90 91 92 93 94 95 96 ··· 110 다음 300x250